본문 바로가기

사해행위취소7

채권자취소권의대상 사해행위취소 등 채권자취소권의대상 사해행위취소 등 채권자의 해함을 알면서 행한 채무자의 법률행위를 취소해서 채무자가 재산회복을 재판상 청구할 수 있게 하는 채권자의 권리를 채권자취소권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행한 채무자의 법률행위에는 정확히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 것일까요? 오늘 알아볼 것은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인데요. 먼저 채권자취소권이라는 것은 사해행위취소권이라고도 불리는 데요.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성립요건에는 채무자의 사해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즉 채무자가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적인 근거 행위여야 합니다. 또한, 채무자의 일반재산을 감소하여서 채권자를 해하는 것이어야만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며 사해행위가 성립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채무자와 수익자 또는 전득자에게 악의가 있어야 하는 .. 2018. 12. 4.
사해행위취소소송 관련 분쟁생겼다면 사해행위취소소송 관련 분쟁생겼다면 사해행위란 채권자를 해하게 되는 채무자의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게 되는 법률행위를 뜻합니다. 이러한 사해행위는 채무자의 행위여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채무자가 아닌 이가 채권자를 방해하는 것은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세무공무원이 체납처분을 진행함에 있어 체납자가 국세에 대한 징수를 막아보고자 재산권을 목적으로 했던 법률행위를 일으켰을 경우에 체납자를 상대로 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하여 행위에 대한 취소를 법원에 청구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사해행위취소소송에 관련된 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때 ㄱ리조트는 토지 778평 가량을 ㄴ사에게 팔았습니다. 토지를 판매하고 나서 ㄱ사는 채권자였던 ㄷ사가 ㄱ사의 토지 매각은 책임적 재산의 감.. 2018. 7. 2.
민사소송 사해행위취소 민사소송 사해행위취소 민사소송 변호사가 보면 사해행위는 민법상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을 하고자 해도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도 자신의 재산을 은닉하거나 손괴 또는 제 3자에게 증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채무자의 총재산을 감소하는 행위를 해 채권자의 강제집행을 어렵게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해행위취소는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행한 채무자의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재산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최근 부동산 가등기 사해행위취소와 관련한 소송 판례가 있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민사소송 변호사가 본 판결의 사안을 보면 채무자소유의 채무자 소유의 ㄱ부동산은 2006년 9월경 2006년 8월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수익자 A 명의의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마쳐졌다가, 2006.. 2015. 7. 17.
부동산소송 사해행위취소 등 부동산소송 사해행위취소 등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의 공유인 부동산에 대해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이후 채무자가 자신의 지분을 양도했다면 이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것일까요? 이를 판단할 때 채무자 소유의 지분이 부담하는 피담보채권액에 대해 오늘 부동산소송 변호사와 함께 판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오늘 살펴볼 판결을 대법원 2013.7.18. 선고 2012다5643 전원합의체 판결인데요. 우선 사안을 살펴보면 A는 자신의 처인 B와 부동산을 2분의 1 지분씩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C은행에 대한 대여금 채무를 연체하고 채무초과 상태에 빠지게 되자 자신의 공유지분을 B에게 모두 증여했는데요. 그러자 C은행은 B를 상대로 위 증여계약을 취소하라는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하게 됩니다. 그런데 위 증여계약 체결 .. 2015. 3. 6.
사해행위취소소송/제척기간 사해행위취소소송/제척기간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법률동반자 강민구변호사입니다. 오늘은 사해행위 취소소송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사해행위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하고자 하여도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도 자기의 재산을 은닉, 손괴 또는 제 3자에게 증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채무자의 총재산을 감소하는 행위를 하여 채권자의 강제집행을 어렵게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경우 채권자는 채무자 및 제 3자를 대상으로 법원에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채무자의 재산을 회복시키고 채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채무자가 부동산을 양도하거나 채권을 양도하면 채무자 자신이 갖고 있는 재산보다 빚이 더 많게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러한 법률행위를 한 경우에, 채권자는 법.. 2013. 4. 24.
[사해행위취소소송] 명의신탁 부동산 처분하면 사해행위 될 수 있다 민사 변호사 - 강민구 변호사 [사해행위취소권] 명의신탁 부동산 처분하면 사해행위 될 수 있다 ◆ 명의신탁약정이란 명의신탁약정은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을 보유한 자, 또는 사실상 취득하거나 취득하려는 자가 타인과의 사이에서, 대내적으로는 실권리자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보유하거나 보유하기로 하고 그에 관한 등기를 그 타인의 명의로 하기로 하는 약정을 말합니다. 우리 법은 부동산에 관한 물권에 대해서는 명의신탁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물권을 명의신탁하게 되면 그 계약은 무효가 됩니다. 하지만 계약할 때의 쌍방 당사자 모두가 명의신탁약정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유효하기도 합니다. ◆ 명의신탁 부동산의 매도는 사해행위에 속할까? 이런 명의신탁 부동산을 신탁자가 제 3자에게 매도.. 2012. 11. 28.
사해행위취소권, 채권자취소권_민사변호사 민사 변호사 - 강민구 변호사 사해행위취소권, 채권자취소권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면 채무관계가 성립이 됩니다. 빌려준 사람은 채권자, 빌린 사람은 채무자가 되겠죠. 그런데 돈을 갚아야할 채무자가 남아있는 유일한 재산을 매각해서 금전으로 바꾸었다고 생각해봅시다. 금전은 부동산에 비해서 소비하기가 쉽겠죠. 이것은 채권자에 대해서 사해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사해행위란? -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행한 채무자의 법률행위. 그럼 채권자는 그대로 당하고만 있어야 할까요? 우리 민법은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해행위취소권, 곧 채권자취소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민법 제 406조에 따르면 ①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채권자는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 2012. 11. 23.